반응형
Finality와 Liveness란?
- Finality는 체인에서 블록에 Tx가 입력된 경우(거래가 완료된 경우) 그 블록(내용)은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없다 라는 의미이다. 어떤 거래가 완료된 경우, 그 거래는 내용이 변경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 Liveness는 문제없는 노드들의 경우에 반드시 합의를 해야한다라는 의미이다.
- Safety는 문제없는 노드들 사이에서는 잘못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라는 의미이다.
컨센서스란?
- 컨센서스(합의)는 구성원들 간에 어떤 의견을 일치시켜나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블록체인에서 데이터는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노드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각 노드들은 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위변조되지 않은 데이터인지 상호간에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악의적인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노드들이 상호검증을 거쳐 올바른 블록을 만들어가는 프로세스와 알고리즘을 컨센서스라고 정의하고 있다.
Finality가 블록체인에서 중요한 이유는?
- 결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결제내용, 결과가 위변조되면 안된다는 것이다. Finality는 블록체인에서 Tx가 입력된 경우 블록은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없다의 의미이며, Finality가 깨져버린다면 해당 블록체인은 더이 상 믿을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에서 TPS가 늘어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나요? 이러한 문제에 대해 솔루션을 고민해본 적이 있으신가요?
- 블록체인에서 TPS가 늘어난다는 것은 초당 처리해야 할 거래량이 많아진다는 의미이고, 해당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블록체인의 속도가 급격하게 느려지게 된다. 사용자는 해당 거래에 대한 결과를 빠르게 받아보지 못할 것이고, 해당 블록체인으로 돌아가는 어플리케이션 또한 느리게 동작할 것이다. 이런 TPS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트릴레마 중 확장성에 대한 성능을 높이면 되지만, 보안, 탈중앙화에 대한 성능 또한 고려 하여 확장성을 높여야 한다.
블록체인의 견고성과 내구성에 대해 트릴레마와의 연관성은?
- 트릴레마는 보안, 탈중앙화, 확장성이 서로 물리고 물리는 관계다.라는 의미이다. 탈중앙화를 중심으로 블록체인을 구성한다면 분산화를 통해 시스템의 견고성과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보안을 중심으로 블록체인을 구축한다면 분산화와 탈중앙화의 성능은 조금 떨어지게 된다.
은행과 블록체인은 다른가요?
- 은행은 중앙집중 플랫폼 이라고 할수있으며, 거래에 대한 모든 내용들이 하나의 은행 데이터베이스에 담겨져있다. 그래서 해당 데이터베이스가 해킹당하면 모든 데이터가 유출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블록체인은 거래에 대한 내용들이 암호화되어 분산되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해킹되서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극히 적다.
BFT와 CFT의 차이점은?
- CFT(Crash Fault Tolerance)는 분산시스템에서 노드가 비정상적인 충돌에 의해 문제가 생기더라도, 나머지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작동방식을 의미하며, BFT(Byzantine Fault Tolerance)는 CFT보다 더 복잡하고 악의적인 행위가 발생햇을 때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작동방식을 의미한다.
반응형
'BlockChain > CodeStates BlockChain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ject - Blockchain Community(2022.04.19~ 2022.05.02) (1) | 2022.05.02 |
---|---|
블록체인 질문(8) (1) | 2022.03.14 |
블록체인 질문(4) (0) | 2022.03.07 |
블록체인 질문(2) (0) | 2022.03.03 |
블록체인 질문(1) (1) | 2022.03.02 |
댓글